class
·
draft/swift
*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목적 = 데이터 캡슐화 ! 클래스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오직 해당 클래스 내에 정의된 메서드만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다~.~ class 이름: 부모클래스{ ~ } *프로퍼티 = 클래스 내의 변수, 상수 메소드 = 클래스 내의 함수 1. 저장 프로퍼티 : 그냥 일반 저장되는 변수 2. 연산 프로퍼티 : 게터로 값 저장하도록 하고 세터(선택사항)으로 값을 받은 후 다른애 값을 수행해줌 ex var a: Int { get{ return b-1 //이게 a 값이 됨} set(inputValue) { b=inputValue+1 } // 입력받은 값이 a가 되고 그 뒤 구문들이 실행됨(b 세팅) * set{ b=newValue+1 } //이렇게도 가능. 입력받는거 명시적으로 안써놓으면..
함수
·
draft/swift
*메서드 = 클래스 / 구조체 / 열거형 안에서 선언된 함수 -함수 선언 func 함수이름(변수이름: 타입, 변수이름: 타입 ...(없으면 걍 가로안 비움)) -> 리턴타입(Void 등등) { 함수 구현 return 값 (void면 return만 쓰거나 암것도 안씀) } -호출 함수이름(변수이름: 값, 변수이름: 값) 호출하고 값은 버리고 싶으면 _=a(~) 하면 됨 ! _ 에 값을 받으면 되는거얌 -func ff (a: Int, b: String){~ } 여기서 a,b는 매개변수인데 함수내에서 이 매개변수들은 상수로 취급됨. (let 임) 즉 값을 바꿀 수 없다~ 그래서 머 바꾸고싶으면 굳이 그러고싶으면 새로운 a,b 변수를 만든 뒤 대입해서 그걸바꾸면됨 var a=a var b=b 하면 된다는 말씀 ..
제어흐름 -> 반복제어 흐름(반복문)/조건부 흐름 제어(if)
·
draft/swift
1. for-in 구문 for 상수명 in 범위 { ~ } for i in 1...5 { ~ } 이런식으로하면 댑 ㄴ니 다르레기다르레기다르레기for _ in 1...5 { ~ } // i값 필요없으면 걍 밑줄 해도되긔 2. while while 조건문 { ~ } //조건문이 false가되면 while문 나간다 3. repeat ... whilerepeat { //} while 조건식 첫실행은 무조건 되는거!!리핏문 돌아간 후에 조건확인한 후 조건이맞으면 다시실행~ *break : 반복문 탈주 *continue : 나머지부분 건너뛰고 다시 반복ㅁ문 처음으로 가즈아 (다시 조건 검사하고 반복문 쭉~) 1. if구문 if 조건식 { ~ } else if 조건식 { ~ }else { ~ } 2. switch->..
기본 개념정리
·
draft/swift
웅난할수잇당 글고 또 정리한거 조금 날라가서 심기불편하다진짜 ㅡㅡ 하 이름짓기 camelcase (이름짓는 규칙) lowercamelcase : function, method, variable UpperCamelCase : type(class, struct ..) 콘솔로그 -print = 문자열 출력 용도 print(~) -dump = 인스턴스의 자세한 설명(description)까지 출력 dump( ~ ) 문자열 보간법 : 문자열 안에 변수/상수 실질적 값 넣기 위해서 사용. 자동치환 (역슬래시(값)) (\( )) "저는 \(a) 살 입니다 " 하면 a값이 들어감~ 또날라감진짜 ㅈㄴ빡친다 변수 var 이름: 타입=값 상수 let 이름: 타입=값 nil (=value가 없는 상태) -일반적으로 변수값에 ..